백본(Backbone)의 개념과 구조 그리고 네트워크 역할 알면 인터넷과 업무 프로그램 사용 원리 이해 쉬워
백본과 네트워크의 관계는 전산이나 네트워크 전공자 또는 관련 업종 종사자가 아닌면 다소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런나 알고 보면 어렵지 않고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당연하게 사용하면서도 PC에서 어떻게 인터넷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의 서버실의 백본(Backbone)에 대해 알아보고 PC와 네트워크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가볍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백본(Backbone)은 등뼈라고 해석이 되는데요. 네트워크에서 중축적인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백본에 각 통신사의 전용선을 연결하고 백본에서 시작한 네트워크 라인을 PC 의 LAN카드에 연결해 인터넷과 각종 통신을 하게 되는 겁니다.
백본(BAckbone)의 개념과 구조
백본 네트워크의 개념을 좀 더 쉽게 설명하면 고속 고대역폭, 주요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그리고 확장성 등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백본은의 고속.고대역폭은 기업, 기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등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백본만으로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됩니다. 예를 들면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방화벽(Firewall) 등의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되며 그 중심에 백본이 있는 것입니다. 추가로 여러 지역, 층, 건물 간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역할도 합니다.
백본 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면 일반적으로 백본 네트워크는 코어, 분배 그리고 엑세스 계층으로 구분됩니다. 코어(Core) 계층은 네트워크의 최상위 계층으로, 가장 빠르고 강력한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백본 네트워크로 기업의 데이터센터,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간의 초고속 네트워크. 광케이블, MPLS(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SD-WAN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분배(Distribution) 계층은 코어 계층과 액세스 계층을 연결하는 중간 계층으로 VLAN(가상 네트워크) 구성, 트래픽 관리, 보안 정책이 적용됩니다. 대형 건물, 기관의 서버실, 대학교 캠퍼스 내 여러 건물 간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액세스(Access) 계층은 사용자의 PC, 서버, IP 전화기, IoT 기기 등 개별 단말기들이 연결되는 계층입니다. 스위치, Wi-Fi AP(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이 포함됨. 기업 내부망, 학교 네트워크, 공공기관에서 직원이나 학생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입니다.
백본 네트워크의 역할과 예시
백본 네트워크의 역할은 첫 번째 고속 데이터 전송으로 대량의 데이터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두 번째 안정성 유지로 트래픽을 분산하여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방지합니다.
세 번째로 확장성을 제공하는데 여러 지역과 사무실, 데이터센터 간 연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방화벽, 트래픽 필터링 등 보안 기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백본 네트워크 예시를 들면 기업 내부 백본은 사내 네트워크에서 서버, 부서 간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구조이며 ISP 백본은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전 세계 인터넷을 연결하는 광케이블 네트워크입니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백본은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데이터센터 간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고속 네트워크입니다.
그럼 백본과 인터넷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백본(Backbne)은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는 고속·고대역폭 네트워크로,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기업, 기관, ISP,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등에서 백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과 네트워크 확장을 지원합니다.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서버실 백본(Backbone)과 연결된 PC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통신 구조와 전용선을 통한 인터넷 사용 관계
서버실 백본(Backbone)과 연결된 PC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통신 구조와 전용선을 통한 인터넷 사용
서버실의 백본(Backbone)에 서버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PC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백본(Backbone)이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jongamk.tistory.com
무선 오디오 신제품 엘지 엑스붐 스페이지 301과 바운스 그리고 그랩의 가격대 별 용도 및 성능 차이?
무선 오디오 신제품 엘지 엑스붐 스페이지 301과 바운스 그리고 그랩의 가격대 별 용도 및 성능
LG전자가 인공지능 무선 오디오를 들려줄 엘지 엑스붐 포터블 스피커 신제품 3종을 공개하였습니다. 엘지 엑스붐의 마케팅을 위해 세계적인 뮤지션 윌아이엠과 협업한 오디오 브랜드의 인기를
jongamk.tistory.com
생성형AI 체험 기회 놓치면 안되는 이유? (ft. AWS Summit Seoul 2025)
생성형AI 체험 기회 놓치면 안되는 이유? (ft. AWS Summit Seoul 2025)
본 포스팅은 AWS로부터 지원을 받아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생성형 AI 도입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하지만 최신 기술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만큼, 이를 우리
jongamk.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