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확장 도메인이 280개나 되는군요
.com, .net, .kr, .org, .info, .biz, .edu, .gov, .jp, .fr.........................
![]() "By order of the Emperor, I cut off your internet" (aka Hadopi Wars) by Stéfan ![]() ![]() ![]() |
2010년 초부터 주요 대기업을 상대로 확장도메인을 생략하는 한정서비스를 한답니다.
초기 비용이 18만 5천달러가 되니 일반 중소업체에서는 엄두가 나기 쉽지 않네요
URL에 www.daum.com 대신 .daum만 치면 된다는 말인데 그럼 Search.Daum 또는 Mail.Daum도 가능하다는 말
좌우지간 요즈음은 IT변화 속도에 따라 세상이 변화는 것 같아요
그런데 사용자들의 포탈에 대한 높은 의존도, 넷피아처럼 각국 언어 도메인 서비스가 있어
End User에게는 도메인으로 뭔가 새로운 패러다임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피부로 와닿지 않는군요.
728x90
반응형
TAG .biz,
.com,
.edu,
.fr,
.gov,
.info,
.jp,
.kr,
.net,
.org,
End User,
ICANN,
IT,
Mail,
Search,
URL,
Web Site,
기대감,
도메인,
웹사이트,
인터넷주소관리기구,
패러다임,
피부,
확장도매인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자이너김군 2009.06.10 13:13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오~ 주소치기가 훨씬 수월해 지겠군요. ^^
헉 주소치기가 뭐예요.. 무식해서 꾸벅
으흐흐 센스쟁이..
주소창에 주소 쳐 넣기가 쉬워 지겠군요..ㅋ
URL선점하고 매매하는 전문용어인줄 알았써요.OTL
하수 2009.06.10 13:47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흠... 이미 길들여진 습관이 워낙 팽배해서... 유용성은 잘 모르겠네요.^^
동감 100%
세아향 2009.06.10 14:51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넘 갖고 싶지만 비싼 주소겠네요~
나이키 같은 브랜드나 필요하지 않을까요
호련 2009.06.10 14:5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오호..저게 가능하군요;; 확장도메인 생략..
;;;
그런데 280개나 되었다니 ㅡㅡ;;;;;;;;;;;
엄청 많네요
국가수를 빼면 그닥
Manspark 2009.06.10 15:58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허어..... ICANN 대단하네요. 저것이야말로 진정 대동강물 파는 작업이지.... 우리나라에서는 몇개 기업은 참여할 수 있겠네요. (흠.. 근데 각 국가에 이미 주인이 있는 개별 도메인을 ICANN에서 다 사들인다는건가? .cm 으로 장사하던 재미교포분은 또한번 대박이겠는데요;;; 헐;; )
그러게요. 예전같지는 않을 것 같아여
현쭌아빠 2009.06.10 16:35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에휴 또 돈이 드러가는 소리가 들린다...ㅋㅋ
그러게요
Eijrhnh 2009.06.10 16:42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냐한 일인 것 같아요… 또 한바탕 선점하려고들 냐한 일이 생길 것 같기도 하고 말이에요…^-^
핑구님 편안한 오후 되세요…^0^
대기업들의 얘기...
티런 2009.06.10 18:04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리먹고 저리먹고 돌려먹고..초기비용이 저렇게 많은 이유가 뭘까 싶네요.ㅋ
글쎄요. 부가가치..
SAGESSE 2009.06.10 19:26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공~ 어제 다음 View 해외란 제글에 뜌떤 날려주셔서 감사해요~ 좋은 저녁 되세요! ^^;
서로 왕래하고 WIN WIN하자구요. 무슨 말인지 아신다면
내일뵈요
수우º 2009.06.10 23:00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와우~~ ㅎㅎ 신기하여람 ^^ 돈이 퐁퐁 ``
어섭쇼.방가 자주뵈요
취비(翠琵) 2009.06.10 23:16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직접 서비스가 실행되어봐야 실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직은 잘 모르겟어요~
몇년이 지나야겠죠..
상오기™ 2009.06.11 01:50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런데 사실 브라우저 주소창에 몇글자만 쳐도 연관된 주소가 뜨니 큰 효과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즐겨찾는 사이트가 지명도가 있는 Site에는 그럴거예요
쿠쿠양 2009.06.11 14:37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도 정말 돈들어가는 소리가 들리는듯...ㅡ..ㅡ;;
아껴도 모자랄 판에 말이죠..
일반인은 안서도 되니까 괜한 걱정 하덜마세요. 네
2proo 2009.06.12 10:51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친구들한테 http://www.daum.net 에서 daum.net만 입력해도 된다니까
무조건 앞에 http://www 를 쓰더라구요. 오타나면 고치면서까지;;;
습관인가봐요.. 아무리 잔소리해도 안고치던걸요 ㅎㅎ
http://jongamk.tistory.com/197 읽어보시면 더 공감가실꺼예요
오르딘 2009.06.12 14:11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런정보는 어디서 얻어오시는거에요? ㅎ
신기하네요~ ㅋ
IT신문보다가... 직접 Site방문뭐 그래요